맨위로가기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1958년에 창단되었다. 소련 리그에 참여하여 1965년 A클래스로 승격했으며, 소련 해체 후에는 러시아 리그에서 활동했다. 1992년 러시아 1부 리그 우승, 2005년 프리미어리그 승격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재정 문제와 지리적 어려움으로 인해 2020년 아마추어 리그로 강등되었다. 클럽은 여러 차례 명칭을 변경했으며, 선수단 임금 체불 및 원정팀의 이동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없어진 축구단 - FC 볼가 니즈니노브고로드
    FC 볼가 니즈니노브고로드는 1963년 창단되어 2016년 재정난으로 해체된 러시아의 축구 클럽으로, 고리키를 연고로 토르페도와 라케타의 합병으로 시작하여 소비에트 톱 리그에서 14위를 기록한 바 있으며, FC 옐렉트로니카 니즈니노브고로드로 재창단 후 FC 니즈니노브고로드와 합병하기도 했다.
  • 러시아의 없어진 축구단 - FC 알라니야 블라디캅카스
    FC 알라니야 블라디캅카스는 러시아 블라디캅카스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소련 리그 시절 2, 3부를 오가다 1995년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우승, 2010-11 시즌 러시아 컵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FC 스파르타크 블라디캅카스, FC 스파르타크-알라니아 등 팀명을 변경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 1958년 설립된 축구단 - 사우스 멜버른 FC
    사우스 멜버른 FC는 1959년 창단된 호주의 축구 클럽으로, 그리스계 호주인 커뮤니티의 지원을 받으며 내셔널 사커 리그와 빅토리아주 내셔널 프리미어리그에서 활동하며 다수의 우승을 기록했다.
  • 1958년 설립된 축구단 - 마르코니 스탤리언스 FC
    마르코니 스탤리언스 FC는 1977년 내셔널 사커 리그 창립 멤버로서 여러 차례 챔피언십과 프리미어십 우승을 차지한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 연고의 축구 클럽이며, 2025년부터는 내셔널 세컨드 디비전에 참가할 예정이다.
  • 2020년 해체된 축구단 - 서던 유나이티드 FC
    서던 유나이티드 FC는 2004년 오타고 유나이티드로 창단되어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에 참가, 더니든을 연고로 오타고 지역을 대표했으나, 2020년 운영 중단 후 2021년 해체된 축구 클럽이다.
  • 2020년 해체된 축구단 - 상주 상무 축구단
    상주 상무 축구단은 국군체육부대 예하 프로 축구단으로, 2002년 창단하여 K리그에서 활동하다 2020년 김천 상무 FC로 재창단되기 전 K리그2 2회 우승 및 FA컵 1회 우승을 기록했다.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클럽 이름FC 루치
별칭아시아의 호랑이
창단1958년
경기장디나모 스타디움, 블라디보스토크
수용 인원10,200명
구단주[[File:Flag of Far East.svg|18px]] 예브게니 스트리지첸코
감독공석
홈 유니폼
상의 색상노란색
하의 색상남색
스타킹 색상노란색
원정 유니폼
상의 색상파란색, 흰색 가로 줄무늬
하의 색상녹색
스타킹 색상녹색
리그 정보
시즌2019–20
순위FNL, 16위 (강등)
기타 정보
웹사이트FC 루치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1958년부터 소련 축구 리그에 참여하였다. 극동지역 토너먼트의 B클래스에서 활동하다가 1965년에 우승을 하면서 A클래스로 승격하였고, 1972년까지 이 리그에서 활동하였다.

1972년부터 1991년까지는 소비에트 2부 리그의 동부 지역 디비전에 참가하였다. 이 기간 동안의 최고 성적은 1984년의 2위였다.

1992년에 소비에트 연방이 해체되면서 러시아 1부 리그의 동부 지역 디비전에 참가하여 그 해 우승하였다. 다음 해인 1993시즌에 러시아 탑 리그에 참가하였으나, 15위를 기록하며 강등되었다.

1994년부터 1997년까지는 러시아 1부 리그에서 활동하였다. 1997시즌에 강등되면서, 1998년부터 2003년까지 러시아 2부 리그에 참가하였다. 2003년에 러시아 2부 리그 동부 지역에서 우승하면서 승격하였고, 2년 동안 1부 리그에서 활동하다가 2005년에 우승으로 승격하여 프리미어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

클럽이 러시아의 극동지역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원정팀들은 이동에 심대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실제로 PFC CSKA 모스크바의 골키퍼인 이고리 아킨페예프는 7시간의 비행 뒤에 펼쳐진 원정 경기에서 자신이 소속 팀인 CSKA 모스크바가 홈팀 루치에 4-0으로 패한 뒤에 "이 팀은 일본 J리그에서 경기를 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하였다.[7]

루치-에네르기아 로고


2017년 11월, 루치의 힘키와의 홈 경기는 선수들의 임금 체불 및 구단 운영에 대한 항의로 15분 지연되었다. 4개월 동안 임금을 받지 못한 일부 선수들은 숙소에서 쫓겨났고, 루치 서포터즈 그룹은 선수들에게 식량을 제공했다.[1]

2017-18 시즌 종료 시 강등권에 머물렀음에도 불구하고, 순위표에서 앞선 다른 클럽들이 2018-19 시즌 리그 라이선스를 획득하지 못하여 강등되지 않았다.[2]

2018년 7월 16일, 클럽은 FC 루치로 다시 이름을 변경했다.[3]

2020년 4월 1일, 프리모르스키 지방 정부는 코로나19 범유행 확산 방지 자금 마련을 위해 해당 지역의 모든 프로 스포츠 클럽과의 계약을 해지한다고 발표했으며, 축구가 재개되면 루치 블라디보스토크는 러시아 아마추어 축구 리그로 강등될 것이다.[4]

2. 1. 소련 시절 (1958년 ~ 1991년)

1958년 '디나모'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어 소련 리그 B클래스(2부 리그) 극동 지역 리그에 참가하였다.[7] 1965년 B클래스 극동 지역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A클래스(1부 리그)로 승격하였다.[7] 1972년에는 리그 개편으로 소련 2부 리그 동부 지역 리그로 변경되었다.[7] 1984년 소련 2부 리그 동부 지역 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이는 해당 시기 클럽의 최고 성적이었다.[7]

2. 2. 러시아 시절 (1992년 ~ 현재)

1991년 소련의 붕괴 이후, 1992년 러시아 1부 리그 동부 지역 리그에 참가하여 우승하였다.[7][4] 1993년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에 참가하였으나, 15위를 기록하며 강등되었다.[7][4]

1994년부터 1997년까지 러시아 1부 리그에서 활동하였고, 1998년부터 2003년까지는 러시아 2부 리그에서 뛰었다.[7][4] 2003년 러시아 2부 리그 동부 지역에서 우승하며 1부 리그로 승격하였고, 2년 동안 1부 리그에서 활동하다가 2005년에 우승하여 다시 프리미어리그로 승격하였다.[7]

클럽이 러시아 극동지역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원정팀들은 이동에 어려움을 겪었다. PFC CSKA 모스크바의 골키퍼 이고리 아킨페예프는 7시간의 비행 뒤에 펼쳐진 원정 경기에서 CSKA 모스크바가 루치에 4-0으로 패한 뒤 "이 팀은 일본 J리그에서 경기를 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하였다.[7]

2008년에는 최하위를 기록하며 러시아 1부 리그로 강등되었다.[7][4] 이는 재정 문제와 주력 선수들의 방출로 이어져 클럽에 큰 타격을 입혔다.[4]

2017년 11월, 선수단의 임금 체불 및 구단 운영에 대한 항의로 FC 힘키와의 홈 경기가 15분 지연되었다. 4개월 동안 임금을 받지 못한 일부 선수들은 숙소에서 쫓겨났고, 루치 서포터즈 그룹은 선수들에게 식량을 제공했다.[1]

2017-18 시즌 종료 시 강등권에 머물렀음에도 불구하고, 순위표에서 앞선 다른 클럽들이 2018-19 시즌 리그 라이선스를 획득하지 못하여 강등되지 않았다.[2]

2018년 7월 16일, 클럽은 FC 루치로 다시 이름을 변경했다.[3]

2020년 4월 1일, 프리모르스키 지방 정부는 코로나19 범유행 확산 방지 자금 마련을 위해 해당 지역의 모든 프로 스포츠 클럽과의 계약을 해지한다고 발표했으며, 축구가 재개되면 루치 블라디보스토크는 러시아 아마추어 축구 리그로 강등될 것이다.[4]

3. 클럽 명칭 변천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는 1958년에 '''디나모'''(디나모/Динамоru)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 1959년부터 2003년까지는 '''루치'''(루치/Лучru)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2003년부터 2018년까지는 '''루치-에네르기아'''(루치-에네르기야/Луч-Энергияru)로 불렸으며, 2018년부터 다시 '''루치'''(루치/Лучru)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4. 문제점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는 극동에 위치해 있어 원정 팀에게 상당한 문제를 야기하는데, 예를 들어 모스크바에서 비행기로 9시간이나 걸린다.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와의 홈 경기에서 제니트 팬 3명이 차를 몰고 15,000km를 이동해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했을 때 차가 고장나 집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되었다. 이 팬들은 결국 시베리아 횡단 철도를 타고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갔고, 구단은 2006년 10월 1일에 그들에게 새 차를 선물했다.[5]

러시아 리그를 서부 리그와 동부 리그로 분할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많았지만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이고르 아킨페예프는 2007년 6월 10일, CSKA 모스크바가 블라디보스토크와의 원정 경기에서 0-4로 패한 후 "그들은 일본 축구 리그에 합류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게다가, 선수들조차 원정 경기를 위해 장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것이 불편하다고 인정했다. 마티야 크리스티치는 "다른 팀들은 일년에 한 번만 이 거리를 이동하면 되지만, 우리는 모든 원정 경기에 이 거리를 이동해야 하므로 그렇게 나쁘지는 않다"라고 말했다. 스르잔 라돈지치는 "정말 미친 짓이다.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를 두 개로 나눠야 한다. 하나는 유럽 팀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아시아 팀을 위한 것이다. 블라디보스토크는 모스크바에서 4,000마일 떨어져 있다"라고 말했다.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는 러시아 극동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서부에 위치한 상대 팀에게는 중대한 문제를 안겨주게 된다. 예를 들어, 홈에서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맞이했을 때, 에브게니 스테파노프, 알렉산드르 자라이스키, 베로니카 다비도바의 제니트 팬 3인조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15,000km나 되는 거리를 쉬지 않고 차를 몰고 왔지만,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했을 때는 차가 고장나서 돌아갈 수 없게 되어, 어쩔 수 없이 시베리아 횡단 철도로 돌아가야 했다. 그래서 2006년 10월 1일 그들에게 새로운 자동차를 증정할 정도였다.

또한, CSKA 모스크바골키퍼인 이고르 아킨페예프는, 7시간의 비행 때문에 0-4로 CSKA가 패배했을 때, "루치는 J리그에서 뛰어야 한다."라고 불평했다.

게다가, 소속 선수들은 원정 경기를 할 때 장거리 이동을 해야만 한다. 마티야 크리스티치는, "우리 팀은 모든 원정 경기가 여행하는 거리라고 생각하면, 다른 팀에게는 연 1회 밖에 없는 것도 나쁘지 않네."라고 말했다. 또한, 스르잔 라드니치는, "심해도 너무 심하다. 블라디보스토크는 모스크바에서 약 6500km나 떨어져 있으니, 프리미어 리그를 유럽 쪽과 아시아 쪽으로 2개로 나눠야 하는 거 아닌가."라는 의견을 냈다.

4. 1. 지리적 문제점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는 러시아 극동 연방관구에 위치하여 다른 러시아 클럽들과의 경기에서 여러 문제점을 야기한다.[5] 모스크바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는 비행기로 약 9시간이 소요되며, 시차는 7시간이나 된다.[5]

일례로,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팬 3명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15,000km를 운전해 블라디보스토크 홈경기에 도착했지만, 차가 고장나 시베리아 횡단 철도를 이용해야 했다. 구단은 2006년 10월 1일 이들에게 새 차를 선물했다.[5]

CSKA 모스크바의 골키퍼 이고르 아킨페예프는 루치와의 원정 경기에서 0-4로 패배한 후 "루치는 J리그에서 뛰어야 한다"라고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5]

소속 선수들 역시 장거리 이동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했다. 마티야 크리스티치는 다른 팀들은 1년에 한 번만 이 거리를 이동하면 되지만, 루치는 모든 원정 경기가 장거리 이동이라 밝혔다. 스르잔 라돈지치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를 유럽과 아시아, 두 리그로 나누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블라디보스토크가 모스크바에서 약 6,500km 떨어져 있다고 언급했다.[5]

4. 2. 재정 문제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는 2008년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에서 강등된 이후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었다. 주력 선수들을 이적 시켜야 했고, 2017년에는 선수단 임금 체불 문제까지 발생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재정 상황이 더욱 악화되어, 결국 프로 계약이 해지되고 아마추어 리그로 강등되었다.

5. 역대 성적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이다.


  • 러시아 1부 리그 (2부 리그) 우승: 1992, 2005
  • 러시아 2부 리그 (3부 리그) 우승: 2003, 2012-13


시즌디비전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유럽감독
19922부, "동부"1302046441423레프 부르찰킨/Лев Бурчалкинru, 알렉산드르 이브첸코/Александр Ивченкоru
19931부153411716295629R256알렉산드르 이브첸코/Александр Ивченкоru
승강 플레이오프452211196
19942부1242151116445341Ig. 사엔코/Игорь Саенкоru
199564220616514866R256부르찰킨/Лев Бурчалкинru
19961542141216394954R128세케치/Иштван Секечru
1997224231227237621코베르스키/Виталий Коберскийru
19983부, "동부"73014610422448R64페댜킨/Андрей Федякинru
19997301479433249R128페댜킨/Андрей Федякинru
20004241239412639R512카라미얀/Юрий Карамянru, 주라블료프/Борис Журавлёвru
20018289109312937R128루키야노프/Виктор Лукьяновru
20026301569513451R512톨킨/Валерий Толкинru, 주라블료프/Борис Журавлёвru
20031241644532352R512주라블료프/Борис Журавлёвru, 안티호비치/Виктор Антиховичru
20042부1442151116505056R128안티호비치/Виктор Антиховичru, 파블로프/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авловru
200514227114813292R64파블로프/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авловru
20061부73012513373941R16파블로프/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авловru
200714308814263832R32파블로프/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авловru
2008163031215245321R32조란 불리치/Zoran Vulićhr, 알트만/Семён Альтманru
20092부1438131114424350R32예멜야노프/Константин Емельяновru, 포베갈로프/Александр Побегаловru
20101238131312424252QF나자렌코/Леонид Назаренкоru, 아르코스/Francisco Arcoses
2011–121748112116373954R16아르코스/Francisco Arcoses, 파블로프/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авловru
2012–133부, "동부"1301884482762R2예멜야노프/Константин Емельяновru
2013–142부836151011402555SF예멜야노프/Константин Емельяновru, 그리고리안/Александр Григорянru
2014–15103411914404642R32그리고리안/Александр Григорянru, 우샤힌/Александр Ушахинru
2015–16153812917314645R4베레텐니코프/Олег Веретенниковru, 페레드냐/Сергей Передняяru
2016–17163891514274142R4페레드냐/Сергей Передняяru
2017–18183891316405240QF이바나우스카스/Valdas Ivanauskaslt, 그리고리안/Александр Григорянru
2018–191338101711292847R64후진/Рустем Хузинru
2019–2016276912284027R16후진/Рустем Хузинru, 우샤힌/Александр Ушахинru (감독대행), 페트라코프/Валерий Петраковru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는 러시아 컵에서 2013-14 시즌 4강에 진출한 기록이 있다. 2010년 시즌에는 8강(QF)까지 진출하였다. 2015-16 시즌과 2016-2017 시즌에는 러시아 컵 4라운드까지 진출했다.

5. 1. 리그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이다.

  • 러시아 1부 리그 (2부 리그) 우승: 1992, 2005
  • 러시아 2부 리그 (3부 리그) 우승: 2003, 2012-13


시즌디비전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유럽리그 최고 득점자감독
19922부, "동부"1302046441423예브게니 카시야넨코/Евгений Касьяненкоru – 9
막심 두보비크/Максим Дубовикru – 9
레프 부르찰킨/Лев Бурчалкинru
알렉산드르 이브첸코/Александр Ивченкоru
19931부153411716295629R256미하일 루슬야코프/Михаил Русляковru – 7알렉산드르 이브첸코/Александр Ивченкоru
강등.
토너먼트
452211196네일 갈리모프/Наиль Галимовru – 4
19942부1242151116445341이고르 프로타소프/Игорь Протасовru – 9Ig. 사엔코/Игорь Саенкоru
199564220616514866R256알렉산드르 셀렌코프/Александр Селенковru – 16부르찰킨/Лев Бурчалкинru
19961542141216394954R128예브게니 시킬로프/Евгений Скилоровru – 9세케치/Иштван Секечru
1997224231227237621알렉산드르 셀렌코프/Александр Селенковru – 5코베르스키/Виталий Коберскийru
19983부, "동부"73014610422448R64멜니크/Роман Мельникru – 8페댜킨/Андрей Федякинru
19997301479433249R128멜니크/Роман Мельникru – 11페댜킨/Андрей Федякинru
20004241239412639R512티호노베츠키/Александр Тихоновецкийru – 9카라미얀/Юрий Карамянru
주라블료프/Борис Журавлёвru
20018289109312937R128티호노베츠키/Александр Тихоновецкийru – 8루키야노프/Виктор Лукьяновru
20026301569513451R512키수린/Анатолий Кисуринru – 10톨킨/Валерий Толкинru
주라블료프/Борис Журавлёвru
20031241644532352R512A. 스미르노프/Александр Юрьевич Смирновru – 11주라블료프/Борис Журавлёвru
안티호비치/Виктор Антиховичru
20042부1442151116505056R128소콜로프/Вадим Соколовru – 11
 – 11
안티호비치/Виктор Антиховичru
파블로프/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авловru
200514227114813292R64D.A. 스미르노프/Дмит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Смирновru – 19파블로프/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авловru
20061부73012513373941R16A. 이바노프/Алекс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Ивановru – 5파블로프/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авловru
200714308814263832R32스트렐코프/Игорь Стрелковru – 5파블로프/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авловru
2008163031215245321R32비탈리 불리가/Віталь Булыгаbe – 5
I. 솁첸코/Игорь Шевченкоru – 5
조란 불리치/Zoran Vulićhr
알트만/Семён Альтманru
20092부1438131114424350R32데니스 데데치코/Денис Дедечкоuk – 9예멜야노프/Константин Емельяновru
포베갈로프/Александр Побегаловru
20101238131312424252QF사탈킨/Никита Саталкинru – 9나자렌코/Леонид Назаренкоru
아르코스/Francisco Arcoses
2011–121748112116373954R16알하자프/Александр Алхазовru – 10아르코스/Francisco Arcoses
파블로프/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авловru
2012–133부, "동부"1301884482762R2티호노베츠키/Александр Тихоновецкийru – 14예멜야노프/Константин Емельяновru
2013–142부836151011402555SF아실다로프/Шамиль Асильдаровru – 5
미할료프/Ілля Міхальовuk −5
예멜야노프/Константин Емельяновru
그리고리안/Александр Григорянru
2014–15103411914404642R32마야진/Андрей Мязинru −11그리고리안/Александр Григорянru
우샤힌/Александр Ушахинru
2015–16153812917314645R4니발도/Nivaldo Rodrigues Ferreirabr −6베레텐니코프/Олег Веретенниковru
페레드냐/Сергей Передняяru
2016–17163891514274142R4스톨보보이/Иван Столбовойru −5페레드냐/Сергей Передняяru
2017–18183891316405240QF젤로얀/Ишхан Гелоянru −7
마야진/Андрей Мязинru −7
이바나우스카스/Valdas Ivanauskaslt
그리고리안/Александр Григорянru
2018–191338101711292847R64파블렌코/Андрей Павленкоru −4
흘레보로도프/Иван Хлебородовru −4
비즈노비치/Илья Визновичru −4
후진/Рустем Хузинru
2019–2016276912284027R16알리예프/Саид Алиевru −8후진/Рустем Хузинru
우샤킨/Александр Ушахинru
페트라코프/Валерий Петраковru



5. 2. 컵 대회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는 러시아 컵에서 2013-14 시즌 4강에 진출한 기록이 있다. 2010년 시즌에는 8강(QF)까지 진출하였다. 2015-16 시즌과 2016-2017 시즌에는 러시아 컵 4라운드까지 진출했다.

6. 주요 선수

'''굵은''' 글씨로 표시된 선수는 루치-에네르기야에서 활약하는 동안 자국을 대표했다.

; 소련/러시아


  • 니콜라이 곤타르
  • 안드레이 치치킨
  • 아나톨리 카니셰프
  • 안드레이 콘드라쇼프
  • 알란 쿠소프
  • 아르툠 마카르추크
  • 라미즈 마메도프
  • 알렉세이 렙코
  • 알렉산드르 셰슈코프
  • 유리 가진스키


; 구 소련 국가

  • 마누크 카코시안
  • '''루슬란 코리안'''
  • 안드레이 모브시시안
  • '''비탈리 불리가'''
  • 안드레이 코발렌코
  • 콘스탄틴 코발렌코
  • 비탈리 란코
  • '''키릴 파블류체크'''
  • '''세르게이 슈타뉴크'''
  • '''겐나디 투밀로비치'''
  • '''기오르기 로마이아'''
  • 뱌체슬라프 크렌델레프
  • 데니스 데데치코
  • 안드레이 아코피안츠
  • 알렉세이 폴리아코프


; 유럽

  • '''다리오 담야노비치'''
  • '''요시프 루카체비치'''
  • 드라간 스토이키치
  • 마레크 체흐
  • '''블라디미르 보스코보이니코프'''
  • '''유르기스 푸친스키스'''
  • 미하일스 지지레프스
  • 이고르 크랄레프스키
  • 스르잔 라도니치
  • 블라디미르 부요비치


; 아프리카

  • 조지 훔멜

6. 1. 소련/러시아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는 소련 및 러시아 국적의 여러 선수들을 배출했다. 대표적인 선수로는 니콜라이 곤타르, 안드레이 치치킨, 아나톨리 카니셰프, 안드레이 콘드라쇼프, 알란 쿠소프 등이 있다. 이들 중 유리 가진스키는 루치 소속으로 러시아 국가대표팀 경기에 출전한 선수이다.

6. 2. 구 소련 국가

아르메니아 국적의 루슬란 코리안, 벨라루스 국적의 비탈리 불리가, 우크라이나 국적의 데니스 데데치코 등이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6. 3. 유럽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다리오 담야노비치와 요시프 루카체비치, 드라간 스토이키치, 체코의 마레크 체흐, 에스토니아의 블라디미르 보스코보이니코프, 라트비아의 유르기스 푸친스키스와 미하일스 지지레프스, 북마케도니아의 이고르 크랄레프스키, 몬테네그로의 스르잔 라도니치와 블라디미르 부요비치 등이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를 거쳐갔다.

6. 4. 기타 국가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활약하는 동안 나미비아를 대표하여 국제 경기에 출전한 선수로는 조지 훔멜이 있다.

7. 역대 감독

세르게이 페레드냐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감독을 맡았다. 발다스 이바나우스카스가 2017년에 감독을 맡았다. 루스템 후진은 2018년부터 감독직을 수행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Luch Energiya Vladivostok's Crisis Deepens http://russianfootba[...] Russian Football News 2017-11-09
[2] 웹사이트 Клубы ФНЛ получили лицензии http://1fnl.ru/news/[...] Russian National Football League 2018-05-30
[3] 웹사이트 Главная команда Приморья вернула себе историческое имя http://fc-luch.com/g[...] FC Luch Vladivostok 2018-07-16
[4] 웹사이트 ЗАКЛЮЧЕНИЕ КОНТРАКТОВ С ИГРОКАМИ В ПРОФЕССИОНАЛЬНЫХ СПОРТКЛУБАХ ПРИМОРЬЯ В СЕЗОНЕ 2020-2021 ПРИОСТАНАВЛИВАЕТСЯ https://www.primorsk[...] Primorsky Krai 2020-04-01
[5] 웹사이트 Far East and far out: Russia's remotest derby, on the Sea of Japan http://www.fourfourt[...] Four Four Two 2012-03-23
[6] 웹인용 ЗАКЛЮЧЕНИЕ КОНТРАКТОВ С ИГРОКАМИ В ПРОФЕССИОНАЛЬНЫХ СПОРТКЛУБАХ ПРИМОРЬЯ В СЕЗОНЕ 2020-2021 ПРИОСТАНАВЛИВАЕТСЯ https://www.primorsk[...] 2020-04-01
[7] 웹인용 FC 제니트 뉴스 http://www.fc-zenit.[...] 2007-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